고려의 멸망과 조선의 건국 4. 조선의 건국
조선의 건국(1392)은 단숨에 이루어진 정권교체가 아니라, 고려 말 붕괴된 국가 시스템을
재정비하는 과정에서 단계적으로 성립한 결과였다. 위화도 회군(1388)으로 전쟁정책이 꺾이고,
과전법(1391)으로 재정·군역이 재구성되면서 신흥무인과 신진사대부가 주도권을 확보했다.
이후 온건개혁파(정몽주 등)가 제거되고 공양왕이 폐위되자, 신흥세력은 이성계(태조)를
새 군주로 추대하여 왕조를 개창했다. 국호를 두고 명에 ‘조선’과 ‘화령’을 타진한 끝에 ‘조선’이 확정되었고,
정도전이 유교적 통치 원리를 체계화하여 국가의 기본 설계를 완성했다. 한양 천도(1394)는
새 왕조의 행정·군사 중심을 옮긴 결정적 조치로, 조선의 장기적 안정과 발전의 출발점이 되었다.
| 항목 | 고려 말 | 조선 초 | 
|---|---|---|
| 권력 기반 | 권문세가·불교세력의 영향력 | 신흥무인+신진사대부 결합, 성리학 국가 | 
| 토지·재정 | 겸병·면세로 국가 재정 붕괴 | 과전법 승계·운영으로 세수 안정 | 
| 권력 구조 | 왕권 약화와 세가 전횡 | 초기 재상 중심 구상 ↔ 이후 왕권 강화로 조정 | 
| 수도 | 개경 | 한양(지리적 중심·방어 용이) | 
| 종교 정책 | 불교 특권 강함 | 억불·숭유로 질서 재편 | 
시험 포인트: 의정부서사제(재상 강화) vs 육조직계제(왕권 강화) 구분 필수.
결론: 외교적 승인 + 수도 전략 + 제도 문서화 + 토지 재편이 맞물려 새 왕조의 지속 가능성을 만들었다.
다음 중 조선 건국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 )을 국호로 확정하고, ( ㉡ )으로 천도하였다. 옳은 것은?
다음 사건을 올바른 순서대로 나열하시오.
새 글 알림과 자료는
곰쌤 역사 단원 정리 카페에서 받아보세요.
1. 개념을 쏙쏙! 쉽게 이해하기 '수'와 '숫자'는 매일 사용하지만 헷갈리기 쉬워요. 걱정 마세요! 레고 블록을…
핵심 요약: '배수'는 어떤 수를 1배, 2배, 3배... 처럼 정수배하여 커지는 수입니다. 마치 구구단처럼요! 약수와는…
핵심 요약 • 약수: 어떤 수를 나누어떨어지게 하는 수. • 자연수 \(a,b,c\)에 대해 \(a=b\times c\)이면…
핵심 요약 • 소수 : 약수가 정확히 \(2\)개( \(1\)과 자기 자신 )인 자연수. • 합성수…
핵심 요약 • \(\mathbf{1}\)은 소수도 합성수도 아님 (약수 1개). • \(\mathbf{소수}\): 1보다 큰 자연수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