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양한 방법으로 광물의 특성 구분하기
다음은 어느 광물의 특성을 설명한 것이다. 이러한 특성을 모두 만족하는 광물은 무엇일까요?
- 묽은 염산을 떨어뜨리면 거품이 발생한다.
- 세 방향으로 쪼개지며, 쪼개진 조각은 기울어진 육면체 모양이다.
- 굳기는 3으로, 동전(굳기 3.5)에 긁힌다.
- 시멘트의 주원료로 이용된다.
- 자철석
- 석영
- 흑운모
- 방해석
- 장석
먼저, 문제에 주어진 네 가지 단서가 각각 어떤 의미를 갖는지 파악해야 합니다.
이제 각 보기의 광물들이 위 단서들과 일치하는지 하나씩 대조해 봅니다.
모든 단서를 종합했을 때, 네 가지 특성을 모두 만족하는 광물은 오직 ‘방해석’ 뿐입니다. 특히 ‘염산 반응’은 방해석을 찾는 가장 확실하고 빠른 방법입니다.
정답: ④ 방해석은 굳기 3, 세 방향 쪼개짐, 시멘트 원료 등의 특징을 가지며, 특히 염산과 반응하여 거품을 발생시키는 고유한 특성이 있습니다.
광물 | 굳기 | 쪼개짐/깨짐 | 핵심 특징 |
---|---|---|---|
방해석 | 3 | 세 방향 쪼개짐 | 묽은 염산과 반응하여 거품 발생 |
석영 | 7 | 쪼개짐 없이 깨짐 | 결정형은 육각기둥, 매우 단단함, 반도체 원료 |
장석 | 6 | 두 방향 쪼개짐 | 지각에 가장 많은 광물, 도자기 원료 |
흑운모 | 2.5~3 | 한 방향 쪼개짐 | 검은색, 얇은 판으로 벗겨짐, 전기 절연체 |
자철석 | 5.5~6.5 | 깨짐 | 검은색, 자성을 띰 (클립이 붙음) |
방해석이 염산과 반응하는 현상은 화학 반응으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CaCO₃(방해석) + 2HCl(염산) → CaCl₂(염화칼슘) + H₂O(물) + CO₂(이산화탄소)↑
여기서 위쪽 화살표(↑)는 기체가 발생하여 날아간다는 의미입니다. 우리가 보는 거품의 정체는 바로 이 이산화탄소(CO₂) 기체입니다.
과학실에서는 여러 종류의 흰색 가루(방해석, 석영, 소금 등)를 준비해두고 학생들이 직접 묽은 염산을 떨어뜨려보며 거품이 발생하는 것만을 골라내는 실험을 합니다. 이 활동을 통해 학생들은 염산 반응이 특정 광물을 식별하는 강력한 도구임을 직접 체험하게 됩니다.
수많은 광물 중에서 ‘염산과 반응하여 거품이 난다’는 설명이 나오면, 다른 것은 볼 필요도 없이 방해석(또는 방해석이 주성분인 석회암, 대리석)을 정답으로 고르면 됩니다. 이것은 광물 구별 문제의 ‘치트키’와도 같습니다.
대리석으로 만들어진 조각상에 산성비가 계속 내리면 표면이 부식되어 손상된다. 이 현상과 가장 관련 깊은 광물의 특성은 무엇일까?
- ① 굳기가 약하기 때문
- ② 쪼개짐이 있기 때문
- ③ 산성 성분과 화학 반응을 하기 때문 ✅
- ④ 조흔색이 흰색이기 때문
(힌트: 대리석의 주성분 광물은 방해석이며, 산성비는 산성을 띤다.)
광물 구별은 퍼즐 맞추기와 같습니다. 각각의 단서, 즉 **광물의 특성**을 하나씩 맞춰가다 보면 결국 정답에 도달할 수 있습니다.
특히 ‘염산 반응’과 같은 독특한 화학적 성질은 수많은 광물 중에서 특정 광물을 콕 집어낼 수 있는 강력한 힌트가 됩니다. 다양한 광물의 특성을 잘 정리해두고, 이를 바탕으로 추리하는 연습을 꾸준히 해보세요!
'철기 시대'라는 이름 때문에 철이 모든 것을 대체했을 것이라 생각하기 쉽습니다. 하지만 역사는…
청동기 시대, 지배자의 무덤에서 나온 번쩍이는 청동검은 소수 권력자의 상징이었습니다. 하지만 기원전 5세기경한반도에 등장한…
고조선의 법, 8조법으로 보는 계급 사회의 모든 것 강력한 왕이 등장하고, 청동검으로 무장한 군대가…
고조선 왜 멸망했는가?강대국의 비극적 최후 중계 무역으로 동아시아의 경제를 쥐락펴락하고, 강력한 철기…
안녕하세요! 고등 수학의 첫걸음을 떼는 학생 여러분! '집합' 단원에서 배우는 새로운 기호들과 '이차부등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