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차수열의 합 - 고2 - 수1 수학 - 대표유형 개념 설명 및 문제풀이
(1) 첫째항과 제\(n\)항(마지막 항)을 알 때:
$$ S_n = \frac{n(a+l)}{2} $$
(2) 첫째항과 공차를 알 때:
$$ S_n = \frac{n\{2a+(n-1)d\}}{2} $$
공식 (1)은 첫째항과 마지막 항의 값을 알 때 사용하기 편리하며, 공식 (2)는 첫째항과 공차를 알 때 직접 합을 계산할 수 있게 해줍니다.
첫째항과 끝항을 이용해서 구하는 방법은 같습니다. 공식 유도도 같은 방법으로 해줍니다.
문제: 첫째항이 2이고 공차가 4인 등차수열의 첫째항부터 제10항까지의 합 \(S_{10}\)을 구하시오.
1. 주어진 조건 파악: 첫째항 \(a=2\), 공차 \(d=4\), 항의 수 \(n=10\)
2. 적절한 합 공식 선택: 첫째항과 공차를 알므로 \(S_n = \frac{n\{2a+(n-1)d\}}{2}\) 공식을 사용합니다.
3. (누락된 정보 없음)
4. 공식에 값 대입 및 계산:
$$ S_{10} = \frac{10\{2(2)+(10-1)4\}}{2} $$
$$ S_{10} = \frac{10\{4+9 \cdot 4\}}{2} = \frac{10\{4+36\}}{2} $$
$$ S_{10} = \frac{10 \cdot 40}{2} = \frac{400}{2} = 200 $$
답: \(S_{10} = 200\)
문제: 첫째항이 10이고 제8항이 31인 등차수열의 첫째항부터 제8항까지의 합 \(S_8\)을 구하시오.
1. 주어진 조건 파악: 첫째항 \(a=10\), 항의 수 \(n=8\), 마지막 항 \(l = a_8 = 31\)
2. 적절한 합 공식 선택: 첫째항과 마지막 항을 알므로 \(S_n = \frac{n(a+l)}{2}\) 공식을 사용합니다.
3. (누락된 정보 없음)
4. 공식에 값 대입 및 계산:
$$ S_8 = \frac{8(10+31)}{2} $$
$$ S_8 = \frac{8 \cdot 41}{2} = 4 \cdot 41 = 164 $$
답: \(S_8 = 164\)
문제: 등차수열 \(\{a_n\}\)에서 \(a_3 = 8\), \(a_8 = 23\)일 때, 첫째항부터 제12항까지의 합 \(S_{12}\)를 구하시오.
1. 주어진 조건 파악: \(a_3 = 8\), \(a_8 = 23\). 구하려는 것은 \(S_{12}\)이므로 항의 수 \(n=12\).
2. 적절한 합 공식 선택: 첫째항과 공차를 구해 \(S_n = \frac{n\{2a+(n-1)d\}}{2}\) 공식을 사용할 것입니다.
3. 누락된 정보 구하기 (첫째항 \(a\)와 공차 \(d\)):
일반항 공식 \(a_n = a+(n-1)d\)를 이용합니다.
$$ a_3 = a + (3-1)d = a + 2d = 8 \quad \cdots \text{①} $$
$$ a_8 = a + (8-1)d = a + 7d = 23 \quad \cdots \text{②} $$
식 ②에서 식 ①을 빼면:
$$ (a+7d) – (a+2d) = 23 – 8 $$
$$ 5d = 15 \implies d = 3 $$
\(d=3\)을 식 ①에 대입하면:
$$ a + 2(3) = 8 \implies a + 6 = 8 \implies a = 2 $$
따라서 첫째항 \(a=2\), 공차 \(d=3\)입니다.
4. 공식에 값 대입 및 계산:
항의 수 \(n=12\), \(a=2\), \(d=3\)을 합 공식에 대입합니다.
$$ S_{12} = \frac{12\{2(2)+(12-1)3\}}{2} $$
$$ S_{12} = \frac{12\{4+11 \cdot 3\}}{2} = \frac{12\{4+33\}}{2} $$
$$ S_{12} = \frac{12 \cdot 37}{2} = 6 \cdot 37 = 222 $$
답: \(S_{12} = 222\)
💡 마무리 정리:
곰쌤의 수학 및 일상 스토리 블로그 도 방문해 주세요.
사인법칙 – 각과 변의 관계 – 고2 수학 개념 및 대표 유형 문제 풀이
수학 II의 세계에 첫발을 내디딘 학생 여러분! '극한'이라는 개념을 처음 만나면 낯설고 어렵게 느껴질…
'철기 시대'라는 이름 때문에 철이 모든 것을 대체했을 것이라 생각하기 쉽습니다. 하지만 역사는…
청동기 시대, 지배자의 무덤에서 나온 번쩍이는 청동검은 소수 권력자의 상징이었습니다. 하지만 기원전 5세기경한반도에 등장한…
고조선의 법, 8조법으로 보는 계급 사회의 모든 것 강력한 왕이 등장하고, 청동검으로 무장한 군대가…
고조선 왜 멸망했는가?강대국의 비극적 최후 중계 무역으로 동아시아의 경제를 쥐락펴락하고, 강력한 철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