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3수학

등차수열의 합 – 수1 – 고2수학 대표유형 개념 및 유형 문제 풀이

 

 

📘 개념 이해: “등차수열의 합”이란?

등차수열의 첫째항부터 특정 항까지의 모든 항들을 더한 값을 등차수열의 합이라고 합니다.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합은 기호로 \(S_n\)과 같이 나타냅니다.

$$ S_n = a_1 + a_2 + a_3 + \dots + a_n $$

등차수열의 합을 구하는 공식은 주어진 조건에 따라 두 가지 형태로 주로 사용됩니다.

 

 

등차수열의 합 공식첫째항이 \(a\), 제\(n\)항(마지막 항)이 \(l\), 공차가 \(d\)인 등차수열의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합을 \(S_n\)이라 할 때,

(1) 첫째항과 제\(n\)항(마지막 항)을 알 때:

$$ S_n = \frac{n(a+l)}{2} $$

 

(2) 첫째항과 공차를 알 때:

$$ S_n = \frac{n\{2a+(n-1)d\}}{2} $$

공식 (1)은 첫째항과 마지막 항의 값을 알 때 사용하기 편리하며, 공식 (2)는 첫째항과 공차를 알 때 직접 합을 계산할 수 있게 해줍니다.

첫째항과 끝항을 이용해서 구하는 방법은 같습니다.  공식 유도도 같은 방법으로 해줍니다.

 

 

 

 

 

💡 문제 풀이 단계

  1. 주어진 조건 파악:문제에서 주어진 정보(첫째항 \(a\), 공차 \(d\), 항의 수 \(n\), 특정 항의 값 \(a_k\), 마지막 항 \(l\) 등)를 명확히 합니다.
  2. 적절한 합 공식 선택:주어진 정보를 바탕으로 두 가지 합 공식 중 어느 것을 사용하는 것이 더 효율적인지 판단합니다.
  3. (필요시) 누락된 정보 구하기:합 공식을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예: 첫째항, 공차, 항의 수 등)가 부족하다면, 등차수열의 일반항 공식 \(a_n = a + (n-1)d\) 등을 이용하여 먼저 구합니다.
  4. 공식에 값 대입 및 계산:선택한 합 공식에 파악된 값들을 정확히 대입하여 합을 계산합니다.

 

 

✅ 예제 1: 첫째항과 공차가 주어질 때

문제: 첫째항이 2이고 공차가 4인 등차수열의 첫째항부터 제10항까지의 합 \(S_{10}\)을 구하시오.

 

 

 

 

풀이 과정:

1. 주어진 조건 파악: 첫째항 \(a=2\), 공차 \(d=4\), 항의 수 \(n=10\)

2. 적절한 합 공식 선택: 첫째항과 공차를 알므로 \(S_n = \frac{n\{2a+(n-1)d\}}{2}\) 공식을 사용합니다.

3. (누락된 정보 없음)

4. 공식에 값 대입 및 계산:

$$ S_{10} = \frac{10\{2(2)+(10-1)4\}}{2} $$

$$ S_{10} = \frac{10\{4+9 \cdot 4\}}{2} = \frac{10\{4+36\}}{2} $$

$$ S_{10} = \frac{10 \cdot 40}{2} = \frac{400}{2} = 200 $$

답: \(S_{10} = 200\)

 

 

 

 

 

 

✅ 예제 2: 첫째항과 마지막 항이 주어질 때

문제: 첫째항이 10이고 제8항이 31인 등차수열의 첫째항부터 제8항까지의 합 \(S_8\)을 구하시오.

 

 

 

 

 

풀이 과정:

1. 주어진 조건 파악: 첫째항 \(a=10\), 항의 수 \(n=8\), 마지막 항 \(l = a_8 = 31\)

2. 적절한 합 공식 선택: 첫째항과 마지막 항을 알므로 \(S_n = \frac{n(a+l)}{2}\) 공식을 사용합니다.

3. (누락된 정보 없음)

4. 공식에 값 대입 및 계산:

$$ S_8 = \frac{8(10+31)}{2} $$

$$ S_8 = \frac{8 \cdot 41}{2} = 4 \cdot 41 = 164 $$

답: \(S_8 = 164\)

 

 

 

✅ 예제 3: 두 개의 특정 항의 값이 주어질 때

문제: 등차수열 \(\{a_n\}\)에서 \(a_3 = 8\), \(a_8 = 23\)일 때, 첫째항부터 제12항까지의 합 \(S_{12}\)를 구하시오.

 

 

 

 

풀이 과정:

1. 주어진 조건 파악: \(a_3 = 8\), \(a_8 = 23\). 구하려는 것은 \(S_{12}\)이므로 항의 수 \(n=12\).

2. 적절한 합 공식 선택: 첫째항과 공차를 구해 \(S_n = \frac{n\{2a+(n-1)d\}}{2}\) 공식을 사용할 것입니다.

3. 누락된 정보 구하기 (첫째항 \(a\)와 공차 \(d\)):

일반항 공식 \(a_n = a+(n-1)d\)를 이용합니다.

$$ a_3 = a + (3-1)d = a + 2d = 8 \quad \cdots \text{①} $$

$$ a_8 = a + (8-1)d = a + 7d = 23 \quad \cdots \text{②} $$

식 ②에서 식 ①을 빼면:

$$ (a+7d) – (a+2d) = 23 – 8 $$

$$ 5d = 15 \implies d = 3 $$

\(d=3\)을 식 ①에 대입하면:

$$ a + 2(3) = 8 \implies a + 6 = 8 \implies a = 2 $$

따라서 첫째항 \(a=2\), 공차 \(d=3\)입니다.

4. 공식에 값 대입 및 계산:

항의 수 \(n=12\), \(a=2\), \(d=3\)을 합 공식에 대입합니다.

$$ S_{12} = \frac{12\{2(2)+(12-1)3\}}{2} $$

$$ S_{12} = \frac{12\{4+11 \cdot 3\}}{2} = \frac{12\{4+33\}}{2} $$

$$ S_{12} = \frac{12 \cdot 37}{2} = 6 \cdot 37 = 222 $$

답: \(S_{12} = 222\)

 

 

 

 

💡 마무리 정리:

  • 등차수열의 합을 구할 때는 주어진 정보에 따라 가장 적절한 공식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첫째항(\(a\))과 마지막 항(\(l\))을 알면: \(S_n = \frac{n(a+l)}{2}\)
    • 첫째항(\(a\))과 공차(\(d\))를 알면: \(S_n = \frac{n\{2a+(n-1)d\}}{2}\)
  • 합 공식에 필요한 정보가 직접 주어지지 않은 경우, 등차수열의 일반항 공식 \(a_n = a+(n-1)d\)를 이용하여 필요한 값을 먼저 구해야 합니다.
  • 항의 수(\(n\))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 계산 과정에서 수의 합과 곱을 정확히 처리하도록 주의합니다.

 

곰쌤의 수학 및 일상 스토리 블로그 도 방문해 주세요.

 

사인법칙 – 각과 변의 관계 – 고2 수학 개념 및 대표 유형 문제 풀이

 

 

 

 

 

 

studygom

Share
Published by
studygom

Recent Posts

수와 숫자, 뭐가 다를까? 초등 사고력 수학1- 곰쌤수학

1. 개념을 쏙쏙! 쉽게 이해하기 '수'와 '숫자'는 매일 사용하지만 헷갈리기 쉬워요. 걱정 마세요! 레고 블록을…

2개월 ago

가장 작은 세 자리 배수 구하기, 나눗셈 하나로 끝내는 꿀팁-1005

핵심 요약 : '가장 작은 세 자리 자연수'는 100입니다. 어떤 수의 배수 중 가장 작은…

2개월 ago

배수 개념 완전 정복! (feat. 약수와의 찰떡궁합)-1004-중1수학

핵심 요약: '배수'는 어떤 수를 1배, 2배, 3배... 처럼 정수배하여 커지는 수입니다. 마치 구구단처럼요! 약수와는…

2개월 ago

고려의 멸망과 조선의 건국 – 4. 조선의 건국 – 중학 역사 한국사

조선의 건국(1392)은 단숨에 이루어진 정권교체가 아니라, 고려 말 붕괴된 국가 시스템을 재정비하는 과정에서 단계적으로 성립한…

2개월 ago

중1수학-3.약수 개념 정리: 정의, 찾는 법, 대표유형+연습

핵심 요약 • 약수: 어떤 수를 나누어떨어지게 하는 수. • 자연수 \(a,b,c\)에 대해 \(a=b\times c\)이면…

2개월 ago

중1수학-2. 소수·합성수 대표유형 — “옳으면 ○, 틀리면 ×” -1002

핵심 요약 • 소수 : 약수가 정확히 \(2\)개( \(1\)과 자기 자신 )인 자연수. • 합성수…

2개월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