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1수학 개념 - 약수-개념및 문제풀이
수학의 세계를 탐험하는 첫걸음 중 하나는 바로 약수(Divisor)를 이해하는 것입니다.
약수란 어떤 자연수를 나머지 없이 나누어떨어지게 하는 수를 의미해요. 쉽게 말해, 사탕 12개를 친구들에게 똑같이 나누어 줄 때, 한 명도 남기지 않고 나누어 줄 수 있는 친구들의 수가 바로 12의 약수가 되는 것이죠.
큰 수의 약수를 찾을 때 하나라도 빠뜨리면 안 되겠죠? 아래 4단계 비법을 따라 하면 실수를 줄일 수 있습니다. (예시: 40의 약수 찾기)
가장 작은 약수인 1과 가장 큰 약수인 자기 자신을 양 끝에 적어두고 시작하면 든든합니다.
\(40 = 1 \times 40\) → 찾은 약수: 1, 40
1 다음으로 작은 수인 2부터 시작해서, 40이 되는 곱셈 짝꿍을 체계적으로 찾아 나갑니다.
\(40 = 2 \times 20\) → 찾은 약수: 2, 20
(40은 3으로 나누어떨어지지 않습니다.)
\(40 = 4 \times 10\) → 찾은 약수: 4, 10
\(40 = 5 \times 8\) → 찾은 약수: 5, 8
곱셈의 앞 수가 뒷 수보다 커지는 순간, 이미 찾았던 약수들이 반복되므로 탐색을 멈춥니다. 위 예시에서는 5 다음으로 나눌 수 있는 수는 8인데, 8은 이미 5의 짝꿍으로 찾았으므로 여기서 멈추면 됩니다.
지금까지 찾은 모든 약수들을 작은 수부터 순서대로 정리하면 끝!
40의 모든 약수: 1, 2, 4, 5, 8, 10, 20, 40
예제 1. 다음 보기의 수 중에서, 60의 약수가 아닌 것은 무엇일까요?
어떤 수가 60의 약수인지 아닌지 판별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은 직접 나누어 보는 것입니다. 나누었을 때 나머지가 0이 나오는지 확인해 봅시다.
✅ 정답: ② 9
예제 2. 자연수 24의 약수의 개수는 몇 개일까요?
먼저 24의 약수를 빠짐없이 모두 찾아야 합니다. 위에서 배운 4단계 전략을 사용해 봅시다.
✅ 정답: ③ 8개
예제 3. 다음 중 ’20보다 크고 40보다 작은 자연수’ 중에서 약수의 개수가 3개인 수는 무엇일까요?
이 문제는 두 가지 조건, ① 수의 범위 (\(20 < \text{수} < 40\))와 ② 약수의 개수 (3개)를 모두 만족하는 수를 찾는 문제입니다.
약수의 개수가 홀수, 특히 3개인 수는 매우 특별한 형태를 가집니다. 바로 ‘소수(prime number)’의 제곱수입니다.
예를 들어 소수 3의 제곱인 9의 약수는 \(1, 3, 9\) (3개)이고, 소수 5의 제곱인 25의 약수는 \(1, 5, 25\) (3개)입니다. 약수가 (1, 소수, 소수의 제곱) 이렇게 3개로 구성되기 때문이죠.
이제 문제의 범위인 ’20보다 크고 40보다 작은 수’ 중에서 ‘소수의 제곱수’를 찾아봅시다.
따라서 주어진 범위 안에서 약수의 개수가 3개인 수는 25 하나뿐입니다.
✅ 정답: ② 25
용어 | 설명 | 예시 (12와 18을 기준으로) |
---|---|---|
약수 | 어떤 수를 나누어떨어지게 하는 수 | 18의 약수: 1, 2, 3, 6, 9, 18 |
배수 | 어떤 수를 1배, 2배, 3배… 한 수 | 12의 배수: 12, 24, 36, … |
공약수 | 두 개 이상의 수의 공통된 약수 | 12와 18의 공약수: 1, 2, 3, 6 |
최대공약수 | 공약수 중에서 가장 큰 수 | 12와 18의 최대공약수: 6 |
약수는 나눗셈과 곱셈, 두 가지 관점에서 모두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어떤 수가 약수인지 헷갈릴 때는, 자신감을 갖고 직접 나누어 나머지가 0이 되는지 확인하는 것이 가장 확실하고 강력한 방법입니다.
'철기 시대'라는 이름 때문에 철이 모든 것을 대체했을 것이라 생각하기 쉽습니다. 하지만 역사는…
청동기 시대, 지배자의 무덤에서 나온 번쩍이는 청동검은 소수 권력자의 상징이었습니다. 하지만 기원전 5세기경한반도에 등장한…
고조선의 법, 8조법으로 보는 계급 사회의 모든 것 강력한 왕이 등장하고, 청동검으로 무장한 군대가…
고조선 왜 멸망했는가?강대국의 비극적 최후 중계 무역으로 동아시아의 경제를 쥐락펴락하고, 강력한 철기…
안녕하세요! 고등 수학의 첫걸음을 떼는 학생 여러분! '집합' 단원에서 배우는 새로운 기호들과 '이차부등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