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근이 문자로 주어질 때 분수형 식의 값 구하기 - 곰쌤수학 중3 수학 인강 풀이
이차방정식의 한 근이 특정 문자(예: \(\alpha, k\))로 주어졌을 때, 이 문자를 포함하는 분수 형태의 식(예: \(k + \frac{1}{k}\), \(k^2 + \frac{1}{k^2}\))의 값을 구하는 유형의 문제입니다.
이 문제 해결의 핵심은 “근은 방정식을 만족시킨다”는 기본 원리를 이용하고, 식을 적절히 변형하는 것입니다.
특히, \(x^2\)의 계수가 1이고 상수항이 0이 아닌 특정 값(예: 1 또는 -1)인 이차방정식 \(x^2 + ax \pm 1 = 0\)의 한 근이 \(k\)일 때, \(k \neq 0\)이므로 양변을 \(k\)로 나누어 \(k + \frac{1}{k}\) 또는 \(k – \frac{1}{k}\) 형태의 값을 쉽게 유도할 수 있습니다. (만약 \(k=0\)이라면 \(0^2 + a \cdot 0 \pm 1 = 0 \implies \pm 1 = 0\)이 되어 모순이므로 \(k \neq 0\)입니다.)
🔑 핵심 원칙:
이차방정식 \(x^2 + ax + 1 = 0\)의 한 근이 \(k\)라면 (\(k \neq 0\)),
\(x=k\)를 \(x^2 + ax + 1 = 0\)에 대입하면 \(k^2 + ak + 1 = 0\)이 성립합니다.
양변을 \(k\)로 나누면 (\(k \neq 0\)이므로 가능):
$$ \frac{k^2}{k} + \frac{ak}{k} + \frac{1}{k} = \frac{0}{k} $$
$$ k + a + \frac{1}{k} = 0 $$
$$ \therefore k + \frac{1}{k} = -a $$
유사하게, 이차방정식 \(x^2 + ax – 1 = 0\)의 한 근이 \(k\)라면 (\(k \neq 0\)),
\(k^2 + ak – 1 = 0 \implies k + a – \frac{1}{k} = 0 \implies k – \frac{1}{k} = -a \)
문제: 이차방정식 \(x^2 – 5x + 1 = 0\)의 한 근이 \(\alpha\)일 때, \(\alpha + \frac{1}{\alpha}\)의 값을 구하시오.
1. 주어진 근을 방정식에 대입:
\(\alpha\)가 \(x^2 – 5x + 1 = 0\)의 근이므로 대입하면,
$$ \alpha^2 – 5\alpha + 1 = 0 $$
2. 양변을 근으로 나누기:
상수항이 1이므로 \(\alpha \neq 0\)입니다. 양변을 \(\alpha\)로 나누면,
$$ \frac{\alpha^2}{\alpha} – \frac{5\alpha}{\alpha} + \frac{1}{\alpha} = \frac{0}{\alpha} $$
$$ \alpha – 5 + \frac{1}{\alpha} = 0 $$
$$ \alpha + \frac{1}{\alpha} = 5 $$
답: \(5\)
문제: 이차방정식 \(x^2 + 3x – 1 = 0\)의 한 근이 \(\beta\)일 때, \(\beta^2 + \frac{1}{\beta^2}\)의 값을 구하시오.
1. 주어진 근을 방정식에 대입:
\(\beta\)가 \(x^2 + 3x – 1 = 0\)의 근이므로 대입하면,
$$ \beta^2 + 3\beta – 1 = 0 $$
2. 양변을 근으로 나누기:
상수항이 -1이므로 \(\beta \neq 0\)입니다. 양변을 \(\beta\)로 나누면,
$$ \beta + 3 – \frac{1}{\beta} = 0 $$
$$ \beta – \frac{1}{\beta} = -3 $$
3. 곱셈 공식 변형 활용:
구하고자 하는 값은 \(\beta^2 + \frac{1}{\beta^2}\)입니다. 곱셈 공식 변형 \(a^2 + \frac{1}{a^2} = (a – \frac{1}{a})^2 + 2\)를 이용합니다.
$$ \beta^2 + \frac{1}{\beta^2} = \left(\beta – \frac{1}{\beta}\right)^2 + 2 $$
여기에 \(\beta – \frac{1}{\beta} = -3\)을 대입하면,
$$ \beta^2 + \frac{1}{\beta^2} = (-3)^2 + 2 $$
4. 식의 값 계산:
$$ 9 + 2 = 11 $$
답: \(11\)
문제: 이차방정식 \(x^2 + 4x + 1 = 0\)의 한 근이 \(\gamma\)일 때, \(\left(\gamma – \frac{1}{\gamma}\right)^2\)의 값을 구하시오.
1. 주어진 근을 방정식에 대입:
\(\gamma\)가 \(x^2 + 4x + 1 = 0\)의 근이므로 대입하면,
$$ \gamma^2 + 4\gamma + 1 = 0 $$
2. 양변을 근으로 나누기:
상수항이 1이므로 \(\gamma \neq 0\)입니다. 양변을 \(\gamma\)로 나누면,
$$ \gamma + 4 + \frac{1}{\gamma} = 0 $$
$$ \gamma + \frac{1}{\gamma} = -4 $$
3. 곱셈 공식 변형 활용:
구하고자 하는 값은 \(\left(\gamma – \frac{1}{\gamma}\right)^2\)입니다. 곱셈 공식 변형 \((a – \frac{1}{a})^2 = (a + \frac{1}{a})^2 – 4\)를 이용합니다.
$$ \left(\gamma – \frac{1}{\gamma}\right)^2 = \left(\gamma + \frac{1}{\gamma}\right)^2 – 4 $$
여기에 \(\gamma + \frac{1}{\gamma} = -4\)를 대입하면,
$$ \left(\gamma – \frac{1}{\gamma}\right)^2 = (-4)^2 – 4 $$
4. 식의 값 계산:
$$ 16 – 4 = 12 $$
답: \(12\)
💡 마무리 정리:
1. 개념을 쏙쏙! 쉽게 이해하기 '수'와 '숫자'는 매일 사용하지만 헷갈리기 쉬워요. 걱정 마세요! 레고 블록을…
핵심 요약: '배수'는 어떤 수를 1배, 2배, 3배... 처럼 정수배하여 커지는 수입니다. 마치 구구단처럼요! 약수와는…
조선의 건국(1392)은 단숨에 이루어진 정권교체가 아니라, 고려 말 붕괴된 국가 시스템을 재정비하는 과정에서 단계적으로 성립한…
핵심 요약 • 약수: 어떤 수를 나누어떨어지게 하는 수. • 자연수 \(a,b,c\)에 대해 \(a=b\times c\)이면…
핵심 요약 • 소수 : 약수가 정확히 \(2\)개( \(1\)과 자기 자신 )인 자연수. • 합성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