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근이 문자로 주어질 때 분수형 식의 값 구하기 – 곰쌤수학 – 중3 이차방정식 개념 및 유형 문제 풀이

 

 

 

📘 개념 이해: “한 근이 문자로 주어질 때 분수형 식의 값”이란?

 

이차방정식의 한 근이 특정 문자(예: \(\alpha, k\))로 주어졌을 때, 이 문자를 포함하는 분수 형태의 식(예: \(k + \frac{1}{k}\), \(k^2 + \frac{1}{k^2}\))의 값을 구하는 유형의 문제입니다.

이 문제 해결의 핵심은 “근은 방정식을 만족시킨다”는 기본 원리를 이용하고, 식을 적절히 변형하는 것입니다.

 

특히, \(x^2\)의 계수가 1이고 상수항이 0이 아닌 특정 값(예: 1 또는 -1)인 이차방정식 \(x^2 + ax \pm 1 = 0\)의 한 근이 \(k\)일 때, \(k \neq 0\)이므로 양변을 \(k\)로 나누어 \(k + \frac{1}{k}\) 또는 \(k – \frac{1}{k}\) 형태의 값을 쉽게 유도할 수 있습니다. (만약 \(k=0\)이라면 \(0^2 + a \cdot 0 \pm 1 = 0 \implies \pm 1 = 0\)이 되어 모순이므로 \(k \neq 0\)입니다.)

 

 

 

 

🔑 핵심 원칙:

이차방정식 \(x^2 + ax + 1 = 0\)의 한 근이 \(k\)라면 (\(k \neq 0\)),

\(x=k\)를 \(x^2 + ax + 1 = 0\)에 대입하면 \(k^2 + ak + 1 = 0\)이 성립합니다.

양변을 \(k\)로 나누면 (\(k \neq 0\)이므로 가능):

$$ \frac{k^2}{k} + \frac{ak}{k} + \frac{1}{k} = \frac{0}{k} $$

$$ k + a + \frac{1}{k} = 0 $$

$$ \therefore k + \frac{1}{k} = -a $$

유사하게, 이차방정식 \(x^2 + ax – 1 = 0\)의 한 근이 \(k\)라면 (\(k \neq 0\)),

\(k^2 + ak – 1 = 0 \implies k + a – \frac{1}{k} = 0 \implies k – \frac{1}{k} = -a \)

 

 

 

 

 

✨ 곱셈 공식의 변형 (자주 사용됨):
  • \( \left(a + \frac{1}{a}\right)^2 = a^2 + 2 \cdot a \cdot \frac{1}{a} + \left(\frac{1}{a}\right)^2 = a^2 + 2 + \frac{1}{a^2} \implies a^2 + \frac{1}{a^2} = \left(a + \frac{1}{a}\right)^2 – 2 \)
  • \( \left(a – \frac{1}{a}\right)^2 = a^2 – 2 \cdot a \cdot \frac{1}{a} + \left(\frac{1}{a}\right)^2 = a^2 – 2 + \frac{1}{a^2} \implies a^2 + \frac{1}{a^2} = \left(a – \frac{1}{a}\right)^2 + 2 \)
  • \( \left(a – \frac{1}{a}\right)^2 = \left(a + \frac{1}{a}\right)^2 – 4 \cdot a \cdot \frac{1}{a} = \left(a + \frac{1}{a}\right)^2 – 4 \)
  • \( \left(a + \frac{1}{a}\right)^2 = \left(a – \frac{1}{a}\right)^2 + 4 \cdot a \cdot \frac{1}{a} = \left(a – \frac{1}{a}\right)^2 + 4 \)

 

 

 

 

💡 문제 풀이 단계

  1. 주어진 근(문자)을 방정식에 대입:이차방정식의 \(x\) 자리에 주어진 근(문자, 예: \(\alpha\))을 대입하여 등식을 만듭니다. (예: \(\alpha^2 + a\alpha + 1 = 0\))
  2. 양변을 근(문자)으로 나누기:근이 0이 아님을 확인하고 (보통 상수항이 0이 아니면 근은 0이 아님), 1단계에서 얻은 등식의 양변을 근(문자)으로 나누어 \(\alpha + \frac{1}{\alpha}\) 또는 \(\alpha – \frac{1}{\alpha}\) 형태의 값을 구합니다.
  3. 곱셈 공식 변형 활용 (필요시):만약 문제에서 \(\alpha^2 + \frac{1}{\alpha^2}\) 또는 \((\alpha – \frac{1}{\alpha})^2\) 등 다른 형태의 식의 값을 요구하면, 2단계에서 구한 값을 곱셈 공식의 변형에 대입하여 값을 구합니다.
  4. 식의 값 계산:최종적으로 식의 값을 계산합니다.

 

 

 

 

✅ 예제 1: \(k + \frac{1}{k}\) 값 구하기

문제: 이차방정식 \(x^2 – 5x + 1 = 0\)의 한 근이 \(\alpha\)일 때, \(\alpha + \frac{1}{\alpha}\)의 값을 구하시오.

풀이 과정:

1. 주어진 근을 방정식에 대입:

\(\alpha\)가 \(x^2 – 5x + 1 = 0\)의 근이므로 대입하면,

$$ \alpha^2 – 5\alpha + 1 = 0 $$

2. 양변을 근으로 나누기:

상수항이 1이므로 \(\alpha \neq 0\)입니다. 양변을 \(\alpha\)로 나누면,

$$ \frac{\alpha^2}{\alpha} – \frac{5\alpha}{\alpha} + \frac{1}{\alpha} = \frac{0}{\alpha} $$

$$ \alpha – 5 + \frac{1}{\alpha} = 0 $$

$$ \alpha + \frac{1}{\alpha} = 5 $$

답: \(5\)

 

 

 

 

 

✅ 예제 2: \(k^2 + \frac{1}{k^2}\) 값 구하기 ( \(k-\frac{1}{k}\) 이용 )

문제: 이차방정식 \(x^2 + 3x – 1 = 0\)의 한 근이 \(\beta\)일 때, \(\beta^2 + \frac{1}{\beta^2}\)의 값을 구하시오.

풀이 과정:

1. 주어진 근을 방정식에 대입:

\(\beta\)가 \(x^2 + 3x – 1 = 0\)의 근이므로 대입하면,

$$ \beta^2 + 3\beta – 1 = 0 $$

2. 양변을 근으로 나누기:

상수항이 -1이므로 \(\beta \neq 0\)입니다. 양변을 \(\beta\)로 나누면,

$$ \beta + 3 – \frac{1}{\beta} = 0 $$

$$ \beta – \frac{1}{\beta} = -3 $$

3. 곱셈 공식 변형 활용:

구하고자 하는 값은 \(\beta^2 + \frac{1}{\beta^2}\)입니다. 곱셈 공식 변형 \(a^2 + \frac{1}{a^2} = (a – \frac{1}{a})^2 + 2\)를 이용합니다.

$$ \beta^2 + \frac{1}{\beta^2} = \left(\beta – \frac{1}{\beta}\right)^2 + 2 $$

여기에 \(\beta – \frac{1}{\beta} = -3\)을 대입하면,

$$ \beta^2 + \frac{1}{\beta^2} = (-3)^2 + 2 $$

4. 식의 값 계산:

$$ 9 + 2 = 11 $$

답: \(11\)

 

 

 

 

✅ 예제 3: \((k – \frac{1}{k})^2\) 값 구하기 ( \(k+\frac{1}{k}\) 이용 )

문제: 이차방정식 \(x^2 + 4x + 1 = 0\)의 한 근이 \(\gamma\)일 때, \(\left(\gamma – \frac{1}{\gamma}\right)^2\)의 값을 구하시오.

풀이 과정:

1. 주어진 근을 방정식에 대입:

\(\gamma\)가 \(x^2 + 4x + 1 = 0\)의 근이므로 대입하면,

$$ \gamma^2 + 4\gamma + 1 = 0 $$

2. 양변을 근으로 나누기:

상수항이 1이므로 \(\gamma \neq 0\)입니다. 양변을 \(\gamma\)로 나누면,

$$ \gamma + 4 + \frac{1}{\gamma} = 0 $$

$$ \gamma + \frac{1}{\gamma} = -4 $$

3. 곱셈 공식 변형 활용:

구하고자 하는 값은 \(\left(\gamma – \frac{1}{\gamma}\right)^2\)입니다. 곱셈 공식 변형 \((a – \frac{1}{a})^2 = (a + \frac{1}{a})^2 – 4\)를 이용합니다.

$$ \left(\gamma – \frac{1}{\gamma}\right)^2 = \left(\gamma + \frac{1}{\gamma}\right)^2 – 4 $$

여기에 \(\gamma + \frac{1}{\gamma} = -4\)를 대입하면,

$$ \left(\gamma – \frac{1}{\gamma}\right)^2 = (-4)^2 – 4 $$

4. 식의 값 계산:

$$ 16 – 4 = 12 $$

답: \(12\)

 

 

 

 

💡 마무리 정리:

  • 이차방정식 \(x^2+ax \pm 1=0\) (또는 양변을 \(x^2\)의 계수로 나누어 이런 꼴로 만들 수 있는 경우)의 한 근이 \(k\)일 때, \(k \neq 0\)이므로 양변을 \(k\)로 나누어 \(k \pm \frac{1}{k}\)의 값을 구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 \(k + \frac{1}{k}\) 또는 \(k – \frac{1}{k}\)의 값을 알고 있다면, 곱셈 공식의 변형을 이용하여 \(k^2 + \frac{1}{k^2}\), \(\left(k – \frac{1}{k}\right)^2\), \(\left(k + \frac{1}{k}\right)^2\) 등의 값을 쉽게 구할 수 있습니다.
  • 실제로 근 \(k\)의 값을 구하려고 하기보다는, 식의 관계를 이용하여 값을 찾는 것이 더 효율적인 경우가 많습니다.
  • 만약 이차방정식이 \(mx^2 + nx + m = 0\) (\(m \neq 0\)) 꼴이라면, 양변을 \(m\)으로 나누어 \(x^2 + \frac{n}{m}x + 1 = 0\) 꼴로 변형한 후 동일한 방법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곰쌤의 스토리 블로그

 

 

 

studygom

Share
Published by
studygom

Recent Posts

지구계란 무엇일까? 우리를 둘러싼 5가지 요소

지구계는 땅, 바다, 공기, 그리고 생명체들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완벽한 조화를 이루고 있죠. 이렇게 지구를…

1주 ago

변성암의 특징 5가지 (편마암, 대리암) 원인과 종류 – 중1 과학

애벌레가 나비로 변신하듯, 기존의 암석이 뜨거운 열과 강력한 압력을 받아 완전히 새로운 모습과 성질로 재탄생하는…

2주 ago

광물의 특성 5가지로 광물 구별하기 (방해석, 석영 문제 풀이)

광물들은 저마다 고유한 지문을 가지고 있는데, 이것이 바로 '광물의 특성'입니다. 굳기, 색, 쪼개짐, 화학 반응…

2주 ago

백제 건국의 비밀 – 고구려 유이민 설의 핵심 증거 2가지

유려한 곡선의 미, 세련된 공예 기술, 그리고 활발했던 해상 교류! 백제는 우리 역사에서 찬란한 문화를…

2주 ago

약수의 개념과 약수 찾기 – 중1 수학 개념 및 문제풀이

수학의 세계를 탐험하는 첫걸음 중 하나는 바로 약수(Divisor)를 이해하는 것입니다. 약수란 어떤 자연수를 나머지 없이…

2주 ago

광물의 이용 5가지 쓰임새 정리 석영부터 흑연까지

스마트폰의 반도체, 시원한 유리컵, 글씨를 쓰는 연필심까지. 우리 생활은 사실 수많은 '광물' 없이는 상상할 수…

2주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