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3수학

수열의 합의 기호 개념 및 사용법 – 고2 수학 수1 수열의 합 – 곰쌤수학

 

📘 개념 이해: “합의 기호 \(\Sigma\)”란?

수열의 합을 나타낼 때, 항의 개수가 많아지면 \(a_1 + a_2 + a_3 + \dots + a_n\)과 같이 모두 나열하기 번거롭습니다.

이럴 때 사용하는 간결한 기호가 바로 합의 기호 \(\Sigma\) (시그마)입니다. \(\Sigma\)는 그리스 알파벳의 대문자로, 영어의 ‘S’에 해당하며 ‘합(Sum)’을 의미합니다.

기호 \(\sum_{k=m}^{n} a_k\)는 수열 \(\{a_k\}\)의 제\(m\)항부터 제\(n\)항까지의 합을 나타냅니다.

여기서,

  • \(a_k\): 합을 구하려는 수열의 일반항 (이때 \(k\)는 변수)
  • \(k\): 일반항의 변수를 나타내는 문자 (다른 문자 사용 가능, 예: \(i, j\))
  • \(m\): 합을 시작하는 항의 번호 (아래끝)
  • \(n\): 합을 마치는 항의 번호 (위끝)

일반적으로 \(m \le n\)이며, \(m, n\)은 정수입니다. 가장 흔한 경우는 \(m=1\)일 때입니다.

 

 

 

 

🔑 \(\Sigma\) 기호의 기본적인 표현과 의미:

(1) 기본형: 수열 \(\{a_k\}\)의 첫째항부터 제\(n\)항까지의 합

$$ \sum_{k=1}^{n} a_k = a_1 + a_2 + a_3 + \dots + a_n $$


(2) 짝수 번째 항들의 합: 일반항이 \(a_{2k}\)인 경우 (여기서 \(k\)는 1부터 \(n\)까지 변함)

$$ \sum_{k=1}^{n} a_{2k} = a_2 + a_4 + a_6 + \dots + a_{2n} $$


(3) 일반항에 변수 \(k\)가 곱해진 경우:

$$ \sum_{k=1}^{n} k a_k = (1 \cdot a_1) + (2 \cdot a_2) + (3 \cdot a_3) + \dots + (n \cdot a_n) $$


 

 

(4) 두 항씩 묶어 표현된 합: 홀수 번째 항과 그 다음 짝수 번째 항을 묶은 합

$$ \sum_{k=1}^{n} (a_{2k-1} + a_{2k}) = (a_1 + a_2) + (a_3 + a_4) + \dots + (a_{2n-1} + a_{2n}) $$

이는 결국 수열 \(\{a_k\}\)의 첫째항부터 제\(2n\)항까지의 합과 같습니다.

$$ \sum_{k=1}^{n} (a_{2k-1} + a_{2k}) = \sum_{j=1}^{2n} a_j $$

(여기서 \(j\)는 새로운 합의 변수로 사용되었습니다. 변수명은 중요하지 않습니다.)

 

 

 

 

💡 \(\Sigma\) 기호로 표현된 합을 이해하는 방법

  1. 일반항 확인:\(\Sigma\) 다음에 오는 식(일반항 \(a_k\))이 무엇인지 정확히 파악합니다.
  2. 변수와 범위 확인:합의 변수(예: \(k\))가 무엇이고, 이 변수가 얼마부터(아래끝) 얼마까지(위끝) 변하는지 확인합니다.
  3. (필요시) 합을 풀어서 나열해보기:변수 \(k\)에 아래끝부터 위끝까지의 정수를 차례로 대입하여 각 항을 구하고, 이들을 모두 더하는 형태로 나타내 봅니다. 이렇게 하면 \(\Sigma\) 기호의 의미를 명확히 이해할 수 있습니다.예: \(\sum_{k=1}^{3} (2k+1) = (2 \cdot 1 + 1) + (2 \cdot 2 + 1) + (2 \cdot 3 + 1) = 3 + 5 + 7 = 15\)
  4. 주어진 정보 활용:문제에서 주어진 \(\Sigma\)에 대한 정보(예: \(\sum a_k = N\))를 이용하여 다른 \(\Sigma\) 식의 값을 구해야 하는 경우, 일반항의 형태나 합의 범위를 주의 깊게 비교하고 변형합니다.

 

시그마 용법은 고2 수학에서 처음 나오기 때문에,

처음 배울 때는 어색할 수 있지만 나열된 수열의 합을 간단히 표현한 내용이랍니다.

주어진 항까지 합을 나타내면 되는 문제입니다.

첫 대표 유형부터 이게 뭔가 싶을 텐데요.  단순히 1부터 대입해서 합을 구하면 되는 문제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 예제 1: 간단한 \(\Sigma\) 값 계산

 

 

문제: 수열 \(\{a_k\}\)의 일반항이 \(a_k = k^2 – k\)일 때, \(\sum_{k=1}^{3} a_k\)의 값을 구하시오.

풀이 과정:

1. 일반항 확인: \(a_k = k^2 – k\)

2. 변수와 범위 확인: 변수는 \(k\), 범위는 \(k=1\)부터 \(k=3\)까지.

3. 합을 풀어서 나열:

$$ \sum_{k=1}^{3} a_k = a_1 + a_2 + a_3 $$

\(a_1 = 1^2 – 1 = 1 – 1 = 0\)

\(a_2 = 2^2 – 2 = 4 – 2 = 2\)

\(a_3 = 3^2 – 3 = 9 – 3 = 6\)

$$ \therefore \sum_{k=1}^{3} a_k = 0 + 2 + 6 = 8 $$

답: \(8\)

 

 

 

 

✅ 예제 2: \(\Sigma\) 표현으로부터 다른 \(\Sigma\) 값 유추

문제: \(\sum_{k=1}^{10} (2a_k – 1) = 50\)일 때, \(\sum_{k=1}^{10} a_k\)의 값을 구하시오.

 

 

 

 

풀이 과정:

\(\Sigma\)의 기본 성질(다음 시간에 자세히 다룸)을 이용하면 \(\sum (A_k – B_k) = \sum A_k – \sum B_k\) 이고, \(\sum c = nc\) (c는 상수) 입니다.

주어진 식 \(\sum_{k=1}^{10} (2a_k – 1) = 50\)을 풀어쓰면,

$$ \sum_{k=1}^{10} 2a_k – \sum_{k=1}^{10} 1 = 50 $$

$$ 2 \sum_{k=1}^{10} a_k – (1 \times 10) = 50 $$

$$ 2 \sum_{k=1}^{10} a_k – 10 = 50 $$

$$ 2 \sum_{k=1}^{10} a_k = 60 $$

$$ \sum_{k=1}^{10} a_k = 30 $$

답: \(30\)

 

 

 

✅ 예제 3: 두 항씩 묶인 합의 표현 활용

문제: 모든 자연수 \(n\)에 대하여 \(\sum_{k=1}^{n} (a_{2k-1} + a_{2k}) = 2n^2 – n\)이 성립할 때, \(\sum_{k=1}^{12} a_k\)의 값을 구하시오.

 

 

 

 

풀이 과정:

1. 주어진 \(\Sigma\) 식의 의미 파악:

\(\sum_{k=1}^{n} (a_{2k-1} + a_{2k})\)는 수열 \(\{a_k\}\)의 홀수 번째 항과 바로 다음 짝수 번째 항을 묶어서 더한 것입니다. 이를 풀어서 나열하면,

$$ (a_1 + a_2) + (a_3 + a_4) + \dots + (a_{2n-1} + a_{2n}) $$

이는 결국 수열 \(\{a_k\}\)의 첫째항부터 제\(2n\)항까지의 합과 같습니다.

$$ \sum_{k=1}^{n} (a_{2k-1} + a_{2k}) = \sum_{j=1}^{2n} a_j $$

따라서, 주어진 조건은 \(\sum_{j=1}^{2n} a_j = 2n^2 – n\)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2. 구하려는 값과 연결:

우리가 구하고자 하는 값은 \(\sum_{k=1}^{12} a_k\)입니다.

위에서 얻은 관계식 \(\sum_{j=1}^{2n} a_j = 2n^2 – n\)에서 합의 위끝이 \(12\)가 되려면 \(2n = 12\)여야 합니다.

그러므로 \(n=6\)을 대입하면 됩니다.

3. 값 계산:

\(n=6\)을 \(2n^2 – n\)에 대입하면,

$$ \sum_{k=1}^{12} a_k = 2(6)^2 – (6) = 2 \cdot 36 – 6 = 72 – 6 = 66 $$

답: \(66\)

 

 

💡 마무리 정리:

    • \(\Sigma\) 기호는 수열의 합을 간결하고 명확하게 표현하는 매우 유용한 도구입니다.
    • \(\Sigma\) 기호를 보면 항상 일반항이 무엇인지, 합의 변수가 무엇이고, 합의 범위(아래끝부터 위끝까지)가 어떻게 되는지를 정확히 파악해야 합니다.
    • 복잡해 보이는 \(\Sigma\) 표현도 직접 몇 개의 항을 나열해보면 그 의미를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 \(\Sigma\)의 여러 가지 성질(덧셈, 뺄셈, 상수배 분리 등)과 자연수의 거듭제곱의 합 공식(\(\sum k, \sum k^2, \sum k^3\))을 알면 더욱 다양한 수열의 합을 효율적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곰쌤의 또다른 수학과 취미를 다룬 블로그도 방문해 주세요.

 

 

등차수열의 합 – 수1 – 고2수학 대표유형 개념 및 유형 문제 풀이

 

 

gommath

Share
Published by
gommath

Recent Posts

지구계란 무엇일까? 우리를 둘러싼 5가지 요소

지구계는 땅, 바다, 공기, 그리고 생명체들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완벽한 조화를 이루고 있죠. 이렇게 지구를…

1주 ago

변성암의 특징 5가지 (편마암, 대리암) 원인과 종류 – 중1 과학

애벌레가 나비로 변신하듯, 기존의 암석이 뜨거운 열과 강력한 압력을 받아 완전히 새로운 모습과 성질로 재탄생하는…

2주 ago

광물의 특성 5가지로 광물 구별하기 (방해석, 석영 문제 풀이)

광물들은 저마다 고유한 지문을 가지고 있는데, 이것이 바로 '광물의 특성'입니다. 굳기, 색, 쪼개짐, 화학 반응…

2주 ago

백제 건국의 비밀 – 고구려 유이민 설의 핵심 증거 2가지

유려한 곡선의 미, 세련된 공예 기술, 그리고 활발했던 해상 교류! 백제는 우리 역사에서 찬란한 문화를…

2주 ago

약수의 개념과 약수 찾기 – 중1 수학 개념 및 문제풀이

수학의 세계를 탐험하는 첫걸음 중 하나는 바로 약수(Divisor)를 이해하는 것입니다. 약수란 어떤 자연수를 나머지 없이…

2주 ago

광물의 이용 5가지 쓰임새 정리 석영부터 흑연까지

스마트폰의 반도체, 시원한 유리컵, 글씨를 쓰는 연필심까지. 우리 생활은 사실 수많은 '광물' 없이는 상상할 수…

2주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