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월. 9월 8th, 2025

수와 숫자, 뭐가 다를까? 초등 사고력 수학1- 곰쌤수학

Bystudygom

9월 8, 2025
1.수와 숫자의 차이점 - 초등 수학 - 곰쌤수학1.수와 숫자의 차이점 - 초등 수학 - 곰쌤수학

1. 개념을 쏙쏙! 쉽게 이해하기

‘수’와 ‘숫자’는 매일 사용하지만 헷갈리기 쉬워요.
걱정 마세요! 레고 블록을 생각하면 아주 쉽게 이해할 수 있어요.

① 숫자 (Digit) = 레고 블록 🧱
‘숫자’는 수를 만드는 재료예요. 레고 블록처럼 종류가 딱 정해져 있죠.
세상 모든 수를 만들 수 있는 신기한 블록은 딱 10개뿐이에요!
➡️ 0, 1, 2, 3, 4, 5, 6, 7, 8, 9
② 수 (Number) = 레고 작품 🏠
‘수’는 숫자 블록(재료)을 조립해서 만든 작품이에요. 사과의 개수, 키의 크기처럼 양이 얼마나 많은지 알려주죠.
자동차, 집처럼 레고 작품이 무한하듯, 수도 무한히 만들 수 있어요.
➡️ 예: 숫자 1, 5를 합쳐서 수 15를 만들어요. 숫자 7 하나로 수 7을 만들 수도 있죠.
③ 핵심 비교!
숫자‘는 글자를 만드는 ‘ㄱ, ㄴ, ㄷ’ 같은 낱글자이고,
‘는 낱글자를 모아 만든 ‘하늘’, ‘바다’ 같은 단어와 같아요.
④ 자릿값의 마법! ✨
똑같은 숫자라도 어느 자리에 있느냐에 따라 전혀 다른 크기의 ‘수’가 돼요. 이것이 바로 ‘자릿값’의 마법이에요!
➡️ 예: 수 555를 보세요. 똑같은 숫자 5가 세 번 쓰였지만, 맨 왼쪽 5는 수 500을, 가운데 5는 수 50을, 맨 오른쪽 5는 수 5를 나타내요.

2. 개념 확인 퀴즈 3개

퀴즈 1. 수 254는 몇 개의 숫자로 만들어졌나요?

생각해보기: 254라는 작품을 만들기 위해 어떤 블록을 썼을까요?
정답: 3개의 숫자 (2, 5, 4)를 사용했어요.

퀴즈 2. 숫자 8과 0으로 만들 수 있는 두 자리 수는 무엇일까요?

생각해보기: 8 블록과 0 블록을 나란히 놓으면 어떤 모양이 될까요?
정답: 수 80을 만들 수 있어요. (08은 한 자리 수 8과 같아요!)

퀴즈 3. ’10’은 숫자일까요, 수일까요?

생각해보기: ’10’이 재료(블록)일까요, 완성된 작품일까요?
정답: 예요. 숫자 1과 0을 합쳐서 만든 작품이죠!

3. 연습문제로 익히기

  1. 수 91은 어떤 숫자로 이루어져 있나요?
    – 사용된 숫자는 무엇인가요? (답: 9, 1)
    – 몇 개의 숫자로 이루어져 있나요? (답: 2개)
  2. 수 7은 수일까요, 숫자일까요?
    – 이것은 수인가요, 숫자인가요? (답: 둘 다 맞아요! 숫자 7이면서 동시에 수 7이에요.)
  3. 수 308에서 십의 자리에 있는 숫자는 무엇인가요?
    답: 0
  4. 수 100은 몇 개의 숫자로 이루어져 있나요?
    답: 3개
  5. 숫자 5, 2, 4로 만들 수 있는 가장 큰 세 자리 수는 무엇인가요?
    답: 542
  6. 0부터 9까지의 ‘숫자’는 모두 몇 개인가요?
    답: 10개
  7. 수 22는 몇 종류의 숫자를 사용했나요?
    답: 1종류 – 숫자 2만 사용
  8. 세 자리 수 중에서 가장 작은 수는 무엇인가요?
    답: 100
  9. 내 생일이 12월 25일일 때, 날짜를 나타내는 수 25는 어떤 숫자들로 이루어져 있나요?
    답: 2, 5
  10. 컴퓨터는 모든 정보를 0과 1, 두 개의 숫자만 사용해서 표현해요. 이 두 숫자로 수 101을 만들었어요. 이것은 몇 개의 숫자를 사용한 걸까요?
    답: 3개

4. 실생활 속 수와 숫자

우리는 생활 속에서 수와 숫자를 다양하게 사용하고 있어요. 언제 ‘수’로, 언제 ‘숫자’로 쓰이는지 찾아볼까요?

  • 전화번호 (010-1234-5678): 전화번호에 쓰인 것들은 양을 나타내는 ‘수’가 아니라, 전화기를 구별하기 위한 ‘숫자’들의 조합이에요. 1234보다 5678이 더 크다는 의미가 아니죠.
  • 버스 번호 (100번 버스): 버스 노선을 나타내는 이름표 같은 ‘숫자’예요. 200번 버스가 100번 버스보다 2배 더 좋은 버스라는 뜻은 아니에요.
  • 가격 (과자 1,500원): 과자의 가치를 나타내는 ‘수’예요. 2,000원은 1,500원보다 더 큰 ‘수’이고, 더 비싸다는 의미를 가져요.
  • 나이 (10살): 살아온 햇수를 나타내는 ‘수’예요. 11살은 10살보다 1년 더 많다는 크기의 의미가 있어요.

5. 마무리 정리

  • 숫자는 수를 만드는 재료(0~9)이고, 낱글자와 같아요.
  • 는 양이나 크기를 나타내는 완성품이고, 단어와 같아요.
  • 똑같은 ‘숫자’라도 자릿값에 따라 다른 크기의 ‘수’가 될 수 있어요. (예: 1과 100)
  • 전화번호처럼 크기와 상관없이 구별하기 위해 쓸 때는 ‘숫자’의 역할이 더 커요.
최종 정답 모음
연습 문제: 1.(9,1/2개) 2.(둘다) 3.(0) 4.(3개) 5.(542) 6.(10개) 7.(1종류) 8.(100) 9.(2,5) 10.(3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