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토. 8월 30th, 2025

중1수학-2. 소수·합성수 대표유형 — “옳으면 ○, 틀리면 ×” -1002

Bystudygom

8월 27, 2025
2. 소수와 합성수 구분 대표유형 문제풀이2. 소수와 합성수 구분 대표유형 문제풀이

핵심 요약
소수 : 약수가 정확히 \(2\)개( \(1\)과 자기 자신 )인 자연수.
합성수 : 약수가 \(3\)개 이상인 자연수(= 소수들의 곱으로 만들 수 있는 수).
• \(1\)은 소수도 합성수도 아니다. 가장 작은 소수는 \(2\), 그리고 유일한 짝수 소수도 \(2\)이다.
• 어떤 자연수가 소수인지 빠르게 보려면, 그 수의 제곱근보다 작거나 같은 소수들로 나누어 떨어지는지만 검사하면 된다(중1은 짝수·\(3\)의 배수·\(5\)의 배수 판단까지로도 충분).

문제

[0003~0007]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에는 ○을, 옳지 않은 것에는 ×를 하여라.

  1. \(1\)은 소수이다. ( )
  2. 소수 중 가장 작은 수는 \(2\)이다. ( )
  3. 소수의 약수의 개수는 \(2\)개이다. ( )
  4. 소수가 아닌 자연수는 약수의 개수가 \(3\)개 이상이다. ( )
  5. \(2\)의 배수 중 소수는 \(2\) 한 개뿐이다. ( )

단계별 풀이

Step 1. 핵심 정의 확실히 하기
소수는 약수(나누어떨어지게 하는 수)가 정확히 두 개인 자연수이다. 합성수는 약수가 세 개 이상이다. \(1\)은 약수가 \(1\)뿐이므로 두 정의 어디에도 들어가지 않는다.

Step 2. 각 문장 판단

  1. \(1\)은 소수이다 → 틀림(×). \(1\)의 약수는 \(1\) 하나뿐.
  2. 소수 중 가장 작은 수는 \(2\)이다 → 맞음(○). \(2\)는 \(1\)과 \(2\)만 약수인 가장 작은 자연수.
  3. 소수의 약수의 개수는 \(2\)개이다 → 맞음(○). 정의 그대로.
  4. 소수가 아닌 자연수는 약수의 개수가 \(3\)개 이상이다 → 맞음(○). 소수가 아니면서 \(1\)도 아닌 수는 합성수이므로 약수가 \(3\)개 이상.
  5. \(2\)의 배수 중 소수는 \(2\) 한 개뿐이다 → 맞음(○). 짝수는 모두 \(2\)로 나누어져 약수가 최소 \(1,2,\) 자신 등 세 개 이상이 되므로 소수가 아니다. 예외는 \(2\).
결론(채점) : ×, ○, ○, ○, ○
한눈 팁
• 소수 검사는 “짝수·\(3\)·\(5\)”부터 빠르게 거른다. 예) \(35\)는 \(5\)의 배수라서 합성수.
• 합성수는 소수들의 곱으로 표현된다. 예) \(18=2\times 3\times 3\). 이처럼 소수의 곱으로 이루어지면 약수가 여러 개 생긴다.

마무리 개념 정리

  • \(1\)은 소수도 합성수도 아니다.
  • 가장 작은 소수는 \(2\), 그리고 유일한 짝수 소수도 \(2\)이다.
  • 어떤 수가 소수인지 확인하려면 그 수를 \(2,3,5,7,\ldots\)와 같이 작은 소수들로 나누어 본다(중1은 짝수·\(3\)의 배수·\(5\)의 배수까지만으로도 많은 수를 판별 가능).
  • 합성수는 소수들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약수의 개수는 자연스럽게 \(3\)개 이상이 된다.

 

대표유형 1 — 기초 개념 확인

[0010~0014] 다음 설명 중 옳으면 ○, 그르면 ×.

  1. \(9\)는 \(3\times 3\)이므로 합성수이다. ( )
  2. \(11\)의 약수는 \(1,11\)뿐이므로 소수이다. ( )
  3. \(25\)는 \(5\)의 배수이지만 소수이다. ( )
  4. \(15\)의 약수는 \(1,3,5,15\) 네 개이다. ( )
  5. \(2\)와 \(3\)은 서로 연속한 두 소수이다. ( )
해설·정답
① ○ (소수들의 곱으로 표현됨) / ② ○ / ③ × (\(25=5\times 5\) 합성수) / ④ ○ / ⑤ ○

대표유형 2 — 배수와 소수

[0015~0019] 옳으면 ○, 그르면 ×.

  1. \(3\)의 배수 중 소수는 \(3\) 하나뿐이다. ( )
  2. \(2\)의 배수는 대부분 합성수이므로 \(2\)를 제외하면 소수가 없다. ( )
  3. \(29\)는 \(2,3,5\)로 나누어떨어지지 않으므로 소수이다. ( )
  4. \(21\)은 \(7\times 3\)이므로 합성수이다. ( )
  5. \(31\)은 짝수가 아니므로 무조건 합성수이다. ( )
해설·정답
① ○ / ② ○ / ③ ○ (제곱근 \( \sqrt{29}\approx 5.38\), \(2,3,5\)로 모두 나누어떨어지지 않음) / ④ ○ / ⑤ × (홀수라도 소수일 수 있음. \(31\)은 소수)

 

대표유형 3 — 헷갈리기 쉬운 문장

[0020~0024] 옳으면 ○, 그르면 ×.

  1. \(1\)은 약수가 하나이므로 합성수이다. ( )
  2. \(49\)는 \(7^2\)이므로 합성수이다. ( )
  3. \(37\)은 \(2,3,5\)로 나누어떨어지지 않으므로 소수이다. ( )
  4. \(27\)은 \(3\)의 배수이므로 소수이다. ( )
  5. \(17\)의 약수는 \(1,17\)뿐이므로 소수이다. ( )
해설·정답
① × (\(1\)은 소수·합성수 어느 쪽도 아님) / ② ○ / ③ ○ (제곱근 \( \sqrt{37}\approx 6.08\); \(2,3,5\)에 모두 나누어떨어지지 않음) / ④ × (합성수) / ⑤ ○

자주 하는 실수

  • \(1\)을 소수로 착각하는 경우가 많다. \(1\)의 약수는 \(1\) 하나뿐이다.
  • \(2\)를 제외한 모든 짝수는 소수가 아니다. “짝수 소수는 하나뿐”을 기억하자.
  • 배수 규칙만으로 충분히 판별 가능한 문제가 많다. 짝수·\(3\)의 배수·\(5\)의 배수부터 빠르게 거르자.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